반응형
QGIS에서 오래된 수치지형도나 지적도(SHP)를 불러왔을 때,
지도는 뜨는데 위치가 맞지 않는 문제를 경험한 적 있으신가요?
이 문제의 핵심 원인은 바로 KLIS 좌표계(Bessel 타원체 기반) 와
현재 지도 서비스가 사용하는 WGS84 좌표계 간의 차이입니다.
이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정리합니다:
- KLIS 좌표계란?
- 도면번호로 원점 판단하는 방법
- QGIS에서 좌표계 보정 적용 방법
- EPSG 코드 및 사용자 정의 좌표계 정리
1. KLIS 좌표계란?
2002년 이전에는 국토지리정보원, KLIS(국가토지정보시스템) 등에서
Bessel 타원체 기반의 좌표계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지도 서비스(브이월드, 구글, 카카오 등)는
WGS84 타원체 기반 좌표계를 사용합니다.
이로 인해,
지적도(Bessel 기반) + 배경지도(WGS84 기반) 조합 시
최대 200~300m 이상의 오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2. 도면번호로 원점 구분하는 방법
지적도나 수치지형도에는 보통 도면번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번호를 통해 어떤 지역 원점을 사용하는지 빠르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예시 도면번호: 3670056
→ 세 번째 자리 숫자를 확인합니다.
세 번째 자리사용 원점대표 EPSG 코드
5 | 서부원점 | EPSG:5173 또는 5185 |
6, 7 | 중부원점 | EPSG:5174 또는 5186 |
8, 9 | 동부원점 | EPSG:5176 또는 5187 |
💡 이 방식으로 적용 좌표계를 미리 예측하면
자료 불러오기 전 세팅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3. 지역별 KLIS 좌표계 정리
QGIS에서 SHP 레이어를 사용할 때, 아래 EPSG 코드나 사용자 정의 좌표계를 활용하세요.
지역EPSGproj4 투영 정보
서부원점 (서부지역) | 5173 | +proj=tmerc +lat_0=38 +lon_0=125.00289027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
중부원점 (서울/경기 등) | 5174 | +proj=tmerc +lat_0=38 +lon_0=127.00289027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
동부원점 (강원/경상) | 5176 | +proj=tmerc +lat_0=38 +lon_0=129.00289027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
제주도 | 5175 | +proj=tmerc +lat_0=38 +lon_0=127.00289027777778 +k=1 +x_0=200000 +y_0=55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
울릉도 | 5177 | +proj=tmerc +lat_0=38 +lon_0=131.00289027777778 +k=1 +x_0=200000 +y_0=500000 +ellps=bessel +units=m +no_defs +towgs84=-115.80,474.99,674.11,1.16,-2.31,-1.63,6.43 |
4. 사용자 정의 좌표계 적용 방법
① 사용자 정의 좌표계 등록

- QGIS 상단 메뉴 → 설정 > 사용자 정의 좌표계
- ‘추가’ 버튼 클릭
- 이름 예시: KLIS 중부 보정
- 위 표의 proj4 정의문을 입력
- 확인
② 레이어 좌표계 지정

- 레이어 더블클릭 → ‘소스’ 탭 → 좌표계 항목
- EPSG 코드 직접 입력 또는 사용자 정의 좌표계 선택
- 적용 → 확인
5. 왜 보정이 꼭 필요할까?
- 위치 오류 발생 시 90% 이상 좌표계 문제
- 브이월드, 위성지도와 최대 300m 오차
- 공간 분석 시 오차 → 결과 왜곡 발생 가능
마무리
지적도나 수치지형도를 QGIS에서 사용할 때,
좌표계 정의 + 사용자 정의 보정값 적용은 필수입니다.
자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반드시 점검하세요.
질문이 있거나 내용 중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반응형
'Q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QGIS 기초 – 속성자료란? 속성 테이블 이해와 편집 방법 정리 (0) | 2025.04.27 |
---|---|
QGIS 기초 – 속성테이블 글자가 깨질 때? 인코딩 변경으로 해결하세요 (0) | 2025.04.25 |
QGIS 기초 _ 좌표계 설정 (0) | 2025.04.21 |
QGIS 기초 _ 지오코딩(Geocoding) (0) | 2025.04.19 |
QGIS 기초 _ 데이터 불러오기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