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지도를 설정해 시각화 효율을 높이기
QGIS에서 공간 데이터를 불러왔는데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면,
대부분은 베이스맵(배경지도)이 설정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QGIS에서 베이스맵을 설정하는 기본 방법부터,
한국형 지도 적용과 좌표계 유의사항까지 실무적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베이스맵이란?
베이스맵(Base Map)은 공간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얹히는 기준 배경지도입니다.
건물, 도로, 토지이용 등 다양한 공간정보를 직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요소이며,
작업 정확도와 분석 효율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 QGIS는 설치 직후 기본 베이스맵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직접 XYZ Tile 형식의 연결을 추가해야 합니다.
[방법 ①] XYZ Tiles로 배경지도 추가
1. 탐색기에서 ‘XYZ Tiles’ 선택

- QGIS 좌측 탐색기 패널 아래쪽에서 XYZ Tiles를 찾습니다.
- 마우스 우클릭 → 새 연결(New Connection) 선택
2. 공개 타일 URL 입력
아래는 대표적인 공개 타일 서버 URL 예시입니다:
OpenStreetMap | OSM | https://tile.openstreetmap.org/{z}/{x}/{y}.png |
Google Satellite | 위성지도 | http://mt1.google.com/vt/lyrs=s&x={x}&y={y}&z={z} |
- 원하는 이름과 URL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목록에 추가됩니다.
3. 배경지도 적용
- 추가된 항목은 XYZ Tiles 폴더 아래에 나타납니다.
- 더블클릭 또는 드래그하여 맵 캔버스에 적용하면 됩니다.
[방법 ②] 파이썬 콘솔로 여러 타일 일괄 등록
타일 URL을 매번 입력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QGIS 내 파이썬 콘솔을 통해 여러 베이스맵을 한 번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등록 절차

- 상단 메뉴 → 플러그인 > 파이썬 콘솔 실행
- 콘솔 창에 스크립트 붙여넣기
- 실행하면 Google, OSM, ESRI, Stamen 등 자동 등록
📌 해당 코드는 [QGIS Cookbook (2020)]에 수록된 내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밑에 거 긁어서 사용하세요!
25.04.23 오류로 수정한 코드입니다!
한번에 등록하면 오류가 날수 있음으로 한줄씩 코드 입력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from qgis.PyQt.QtCore import QSettings
xyz_tiles = [
("Google 일반 지도", "https://mt1.google.com/vt/lyrs=m&x={x}&y={y}&z={z}", 0, 19),
("Google 위성 지도", "https://mt1.google.com/vt/lyrs=s&x={x}&y={y}&z={z}", 0, 19),
("Google 하이브리드", "https://mt1.google.com/vt/lyrs=y&x={x}&y={y}&z={z}", 0, 19),
("Google 지형 지도", "https://mt1.google.com/vt/lyrs=t&x={x}&y={y}&z={z}", 0, 19),
("브이월드 위성영상", "http://xdworld.vworld.kr:8080/2d/Satellite/201710/{z}/{x}/{y}.jpeg", 6, 18),
("CartoDB Positron", "http://basemaps.cartocdn.com/light_all/{z}/{x}/{y}.png", 0, 20),
("CartoDB Dark Matter", "http://basemaps.cartocdn.com/dark_all/{z}/{x}/{y}.png", 0, 20),
("Esri Satellite", "https://server.arcgisonline.com/ArcGIS/rest/services/World_Imagery/MapServer/tile/{z}/{y}/{x}", 0, 17),
("Esri 거리 지도", "https://server.arcgisonline.com/ArcGIS/rest/services/World_Street_Map/MapServer/tile/{z}/{y}/{x}", 0, 17),
("Esri 회색 지도", "https://server.arcgisonline.com/ArcGIS/rest/services/Canvas/World_Light_Gray_Base/MapServer/tile/{z}/{y}/{x}", 0, 16),
("Wikimedia Map", "https://maps.wikimedia.org/osm-intl/{z}/{x}/{y}.png", 1, 20),
("Strava Heatmap All", "https://heatmap-external-b.strava.com/tiles/all/bluered/{z}/{x}/{y}.png", 0, 15),
]
settings = QSettings()
for name, url, zmin, zmax in xyz_tiles:
base_key = f"qgis/connections-xyz/{name}"
settings.setValue(f"{base_key}/url", url)
settings.setValue(f"{base_key}/zmin", zmin)
settings.setValue(f"{base_key}/zmax", zmax)
settings.setValue(f"{base_key}/yOriginTop", True)
print("? 브라우저에 XYZ 타일이 등록되었습니다. 브라우저 패널을 새로고침 해주세요.")
[방법 ③] 국내 지도 사용 – TMS for Korea 플러그인
QGIS에서 한글 지도, 네이버 지도, 다음 지도 등을 활용하고 싶다면,
TMS for Korea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됩니다.
설치 방법
- 메뉴 → 플러그인 > 플러그인 관리 및 설치
- 검색창에 TMS for Korea 입력
- 설치 완료 후 웹 > TMS for Korea 항목에서
네이버 지도, 다음 지도 등을 추가 선택 가능
베이스맵 사용 시 좌표계 설정 주의사항
대부분의 베이스맵은 EPSG:3857 (Web Mercator) 좌표계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국내 공간데이터는 보통 **UTM-K (EPSG:5181, 5186)**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지도가 어긋나거나 겹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 프로젝트 좌표계 변경: 우측 하단에서 EPSG:3857로 일시 설정
- 투명도 조절: 베이스맵을 참고용으로만 사용 시 유용
QGIS에서 기준지도를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베이스맵 설정은 모든 공간분석 작업의 기본이 되는 과정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공간 데이터 불러오기와 관련된 실습을 이어가겠습니다.
지속적인 학습을 원하신다면 구독과 스크랩도 잊지 마세요.
문의나 오류가 있을 경우 댓글로 남겨주세요.
QGIS를 함께 학습하는 공간이 되길 바랍니다.
'Q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QGIS 기초 _ 좌표계 설정 (0) | 2025.04.21 |
---|---|
QGIS 기초 _ 지오코딩(Geocoding) (0) | 2025.04.19 |
QGIS 기초 _ 데이터 불러오기 (0) | 2025.04.17 |
QGIS 기초 _ 인터페이스 완전정복 (0) | 2025.04.13 |
QGIS 기초 설치 가이드 | 공간정보 분석을 위한 첫걸음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