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포스팅에서는 QGIS의 속성 조인(Join) 기능을 이용해
공간 정보와 속성 데이터를 결합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그 다음 단계로,
조인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레이어를 분리(Split) 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언제 속성 분리를 사용할까요?
조인한 후 속성이 많아진 데이터를
조건별로 나눠서 저장하거나 시각화할 때 속성 분리는 매우 유용합니다.
활용 예시
- 자치구별 인구 데이터 분리 → 각각 색상 분류 가능
- 용도지역 분류 → 개발제한구역만 따로 시각화
- 도로 유형 분석 → 고속도로/국도/지방도 분할 저장
2. 조인 해제(Join 제거) 방법
먼저, 이전에 수행한 속성 조인을 해제하고 싶다면 아래 방법을 사용하세요.
방법

- 기준 레이어 더블클릭 → 결합(Join) 탭
- 조인했던 항목 확인
- - 버튼 클릭 → 조인 해제 완료
💡 조인 해제를 하지 않으면 이후 분리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 필요시 꼭 해제해 주세요.
3. 속성 기준으로 레이어 분리하기 (Split Vector Layer)
STEP 1. 메뉴 경로
- 메뉴: 벡터 > 데이터 관리 도구 > 벡터 레이어 분할
STEP 2. 옵션 설정

항목설정값
입력 레이어 | 조인된 행정동 SHP |
분할 필드 | SIG_CD (예: 시군구 코드) |
고급 파라미터 | 출력 형식: ESRI Shapefile (*.shp) |
출력 폴더 | 결과 파일을 저장할 폴더 지정 |
→ 설정 완료 후 실행
반응형
4. 분리 결과 확인

- 출력 폴더에 시군구별 SHP 파일이 각각 생성됩니다.
- 각 SHP 파일에는 해당 지역의 정보만 포함되어 있음
- QGIS에 불러오면 단일 행정구역만 표시됩니다.

💡 속성 테이블을 열어보면 객체 1개만 존재 → 필터링 완료된 상태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SHP가 너무 많아져서 관리가 어려워요
→ 필요한 자치구만 속성 필터링 후 내보내기 하세요.
→ 벡터 > 연구 도구 > 선택한 객체 저장 도 활용 가능
Q. 저장된 SHP가 열리지 않아요
→ 필드 이름에 공백 또는 특수문자가 있으면 파일명 오류 발생 가능
→ 저장 전 필드 이름 정리 또는 접두어 설정을 권장합니다.
마무리
속성 조인 이후, 조건별로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는 작업은
분석, 시각화, 보고서 제작 시 매우 유용합니다.
QGIS의 벡터 레이어 분할 기능은
초보자도 간단히 사용할 수 있으니 꼭 익혀두세요.
질문이나 오류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반응형
'QG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QGIS 기초 – 필드 계산기(Field Calculator)로 속성 필드 자동 계산하기 (0) | 2025.05.05 |
---|---|
QGIS 기초 – 속성자료의 공간화 (속성 → 지도 위 점으로 만들기) (0) | 2025.05.03 |
QGIS 기초 – 속성 조인(Join) 기능으로 공간정보에 속성 추가하기 (0) | 2025.04.29 |
QGIS 기초 – 속성자료란? 속성 테이블 이해와 편집 방법 정리 (0) | 2025.04.27 |
QGIS 기초 – 속성테이블 글자가 깨질 때? 인코딩 변경으로 해결하세요 (0) | 2025.04.25 |